우리가 많이 이용하는 상가의 건축물 용도를 살펴보면 근린생활시설입니다. 이는 근린생활시설이 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시설로 주거지 근처에 많이 몰려 있으며, 창업을 준비하는 많은 분들도 주민 편의와 관련된 업종을 주로 운영하고자 하시기에 근린생활시설은 건축물 용도 중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시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근린생활시설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특징 그리고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은 상가 건축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시설로 일반적으로 주거와 인접해 일상생활에서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건축법 시행령」에 따르면 근린생활시설은 크게 제1종 근린생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구분이 되며, 각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 근린생활시설은 주로 주거지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 주민 접근성을 높이며, 대규모 상업시설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하며, 소규모 창업에 적합합니다.
「종류와 특성」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은 주로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시설들로 구성이 됩니다.
1. 주요 시설
- 소매점 : 식품, 잡화, 의류 등 일용품 판매(바닥면적 합계 1,000㎥ 미만)
- 휴게음식점, 제과점 (바닥면적 합계 300㎥ 미만)
- 이용원, 미용원, 목욕장, 세탁소
-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침술원 등 의료시설
- 탁구장, 체육도장 (바닥면적 합계 500㎥ 미만)
- 지역자치센터, 파출소, 소방서, 우체국 등 공공업무시설 (바닥면적합계 1,000㎥ 미만)
- 마을회관,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 금융업소, 사무소 등 (바닥면적 합계 300㎥ 미만)
2. 특징
- 비교적 규모가 작고 주거지역과 잘 어울림
- 소음과 혼잡도가 낮아야 하며, 주택에 인접한 지역에 위치 가능
≪제2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은 제1종 보다 규모가 크거나 주민들의 취미, 여가 생활과 관련된 시설들로 구성이 됩니다.
1. 주요 시설
- 공연장 (바닥면적 합계 500㎥ 미만)
- 종교집회장 (바닥면적 합계 500㎥ 미만)
- 일반음식점
- 테니스장, 체력단련장, 에어로빅장, 볼링장 등 (바닥면적 합계 500㎥ 미만)
- 학원, 교습소 (자동차학원, 무도학원 제외, 바닥면적 합계 500㎥ 미만)
- 금융업소, 수리점 (바닥면적 합계 500㎥ 미만)
- 제조업소, 수리점 (바닥면적 합계 150 ㎥ 미만)
- 안마시술소, 노래연습장
2. 특징
- 규모가 크고 다소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
- 상업 지역이나 준주거 지역에 주로 위치하며, 제1종에 비해 주민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이 적을 수 있음
근린생활시설은 주민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소규모 창업자나 지역 상권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만 층수, 연면적, 주차공간 등은 지자체별로 다르게 규제되므로 건축 혹은 상가 계약 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며, 제1종 및 제2종 그린생활시설의 주요 시설 조건(면적 등)은 법 개정에 따라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근린생활시설 중 제1종 근린생활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의 차이점과 특성 그리고 주요 시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에도 또 다른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만나겠습니다.
'부동산,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이해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4) | 2025.01.16 |
---|---|
상가 임대차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는 건축물 용도 (2) | 2024.12.17 |
매끄러운 전세 계약을 위한 부동산임대차계약서 작성 방법 (3) | 2024.03.26 |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전세 계약 시 확인 사항 (0) | 2024.03.25 |
[부동산 기초] 초보자를 위한 부동산 계약 기초 용어 (4) | 2024.03.18 |